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9/32_10_14_22_blog170919_attach_0_31.jpg?original)
인형뽑기 기계보다도 더욱 치밀하게 사람들을 끌어들이는 것이 바로 사탕뽑기 기계다. 필자가 대기실이라고 명명한 그곳에는 항상 사탕이 쌓여 있어서 지나가는 사람들이 조금만 해도 그 사탕들이 와르르 떨어질 것이라는 환상을 심어준다. 하지만 막상 하고나면 모두들 "이건 사기야"라고 소리친다. 하지만 그 다음날 보면 또 다시 사탕을 뽑기 위해 돈을 넣고 있는 것을 본다. 사탕뽑기 기계는 상당한 마의 힘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사탕을 뽑기 위해 적게는 5백원에서 많게는 3만원까지 쓰는 사람들, 많은 사람들이 모여 뽑을 때는 서로 소리를 치며 훈수를 둔다. 덕분에 가게 앞은 항상 시끄럽다. 돈이 떨어지면 몇 번이고 가게로 들어와 동전과 지폐를 바꿔간다. 가게에서 물건을 사가는 것보다 사탕 뽑기에 쓰는 돈이 더 많은 사람들도 있다.
한번은 필자가 광적으로 사탕뽑기 기계를 하는 손님에게 왜 그렇게 사탕을 뽑는데 열을 올리냐고 물어봤다. 그의 말은 이랬다. "사탕이 쌓여 있어서 조금만 해도 대박이 터질 것 같아. 이것이 미끼라는 건 알아도 자꾸 하게 돼" 어디선가 많이 들어본 소리인 것도 같다. 혹시 바다이야기? 왠지 맞아 떨어지는 것 같다. 사탕이 쌓여있어서 조금만 해도 대박이 터질 것 같은 느낌은 바로 바다이야기의 상어신호와 비슷한 거 같다.
어느 정도는 사람들을 빨아들이는 힘이 바다이야기와 비슷하게 느껴지는 사탕뽑기 기계. 일반 인형뽑기 기계는 잡는데 성공하면 얻을 수 있고 못 잡으면 못 얻는다. 얻는 것이 해당 상품 하나에 한정되어 있다. 하지만 사탕뽑기 기계는 사탕이 쌓여 있어서 제대로 밀리면 한번에 많은 것을 얻을 수 있다. 이것이 상어신호로 대박을 터뜨릴 수 있다는 환상을 주는 바다이야기와 무엇이 다를까?
하루에 수천원에서 수만 원까지 사탕뽑기를 하는 사람들은 의외로 많다. 그들이 자신들이 뽑은 사탕을 다 먹는지 의문이다. 대부분 집에 쌓아놓거나 주변 사람들에게 나눠주지 않을까 싶다. 조금 떨어져 있는 부동산에는 인형기계가 있는데 부동산 아저씨가 필자에게 장난 비슷하게 시비를 건다. 사탕뽑기 기계 때문에 인형뽑기 기계 앞이 썰렁해졌다고.
사람들은 왜 그렇게 대박을 좋아하고 쓸데없는 욕심에 많은 돈을 잃는 것일까? 조금은 자제가 필요하지 않나 싶다.
반응형
'옛날글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생에 전환점을 주는 것 7가지 (20) | 2008.06.24 |
---|---|
단것에 중독된 사람들 이야기 (10) | 2008.06.10 |
풍요속의 빈곤 개그세상, 개콘 박대박이 반전,궤변을 섞어 대박웃음을 만들다 (5) | 2008.04.07 |